콜백 함수... 회사에서 기능 수정을 할 때 활용하라는 조언을 듣기도 했고, 요새 js 기초 공부를 다시 하기 시작하는 김에 블로그에도 정리차 남겨보고자 한다!! 😊콜백 함수란?Callback의 뜻부터 알아보자. 'callback'은 답신 전화, 회신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답신 전화를 하기 위해선 먼저 전화를 받아야 하지 않는가? 콜백은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로 "나중에 실행할 함수"를 다른 함수에 전달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하면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어 나중에 실행되는 함수 라고도 할 수 있다. 함수도 값처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콜백을 활용한다!콜백 함수는 비동기 처리, 유연한 함수 구현, 배열 처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이번 글은 ..
웹 접근성에 관해 관심과 지식은 늘 있었으나 제대로 공부하진 못한 것 같아서 요새 기초부터 다시 조금씩 다지고 있습니다. 그런 김에 그 기초중의 기초! 시맨틱 태그에 관한 글을 써보려 합니다✌시맨틱 태그(Semantic Tag)란?시맨틱이란 단어는 '의미론, 의미론적인'을 뜻합니다. 시맨틱 태그는 HTML5에서 도입된 개념으로, 말 그대로 '의미를 담고있는 태그' 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 , 같은 태그는 이름만 보고도 해당 영역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웹사이트의 구조 파악 또한 쉬워집니다.시맨틱 태그의 장점웹 접근성 향상: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면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이 콘텐츠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시각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더 나은 접근성을 제공합니다.SEO..
평소 회사에서 SVN을 사용하다가 이번에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깃허브 브랜치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역시 사람은 써버릇 해야... 😢 그래서 복습을 겸해 협업 시 깃허브, 깃배쉬, 깃허브 데스크탑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브랜치(branch)란?브랜치란 코딩의 '독립적인 작업 영역'을 의미합니다. 모든 깃 리포지토리(repository)는 'main' 혹은 'master'에서 시작하는데, 나무에서부터 가지가 뻗어나가는 이미지와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면, 현재의 브랜치로부터 분기되어 독립적인 개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브랜치의 장점 독립적인 개발 환경: 메인 브랜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 개발, 실험, 버그 수정 등을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